본문 바로가기
Today/(알면)공짜

나만빼고 다받는 정부 보조금, 정부 지원금 나도 받아보자

by ◎◉⌥⏏︎ 2021. 9. 15.

저와 여러분이 받을 수 있는 정보 보조금이 종류가 많습니다.

지금까지 정부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보조금의 종류가 천 개가 넘습니다. 

지금까지는 정부24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공공데이터 포털에 모두 공개한다고 합니다.

공개된 정보를 통해 더 많은 분들이 보조금을 지원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것 같습니다.

"보조금 24" 1천여 개 보조금 정보를 공개해 누구나 활용 가능합니다.

 

행정안전부는 9월 15일(수)부터 중앙부처의 보조금 정보를 공공데이터 포털(data.go.kr)에 공개합니다.

공공데이터 포털에는 각종 카테고리 별로 데이터를 개방해두었는데 이를 통해 국민 접근성이 높아져 민간영역에서 새로운 가치 창출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통해 국민 개개인의 상황별 맞춤형 추천 서비스로 더욱 발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행정 안전부에서 밝히고 있는 보조금 24의 개요를 보면 '사회적 약자가 정보에 어두워서 혜택을 못 받는 일이 없도록 정책 사각지대를 해소시키겠다.'는 것과 지금까지는 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하거나 여러 종류의 웹사이트들을 일일이 방문해서 신청해 온 것을 현재 정부 24 홈페이지에 있는 보조금 24라는 서비스를 통해서 받을 수 있는 보조금 등을 한 번에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도록 만들어 두었다고 합니다.

 

이 계획이 단번에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1~3단계 순서대로 진행되는데요, 1단계는 올해 2021년 4월까지 이미 실행이 되었고 중앙부처의 1075종  중에 맞춤 안내로 305종을 서비스했고 맞춤 안내 대상은 본인과 14세 미만 자녀까지 대상이었습니다.

그리고 2단계는 올해 2021년 말까지 실행됩니다. 여기에 중앙부처 서비스 외에 광역단체, 기초단체 6710개의 서비스 중에서 3061종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합니다. 맞춤 안내 대상은 본인, 배우자, 자녀 주민등록 세대를 기준으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내년부터 마지막 단계인 3단계에서는 정부, 광역단체, 기초단체 외의 공공기관들과 민간단체까지 모두 합쳐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합니다. 이렇게 되면 중앙부처 1000개, 광역 기초단체 6700개 등 거의 만 가지 종류의 공공기관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내년부터는 본인뿐만 아니라 배우자, 자녀 여기에 할아버지 할머니까지 가족관계 등록부를 기준으로 모두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디지털 약자 그러니까 인터넷이나 휴대폰 사용하시는데 조금 불편한 분들 대부분 어르신들인데요 이런 분들은 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하셔서 맞춤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보조금 24 중앙부처에 서비스 유형을 보면 현금 형태도 있고 물건으로 주는 것도 있고 이용권과 많은 종류의 서비스들이 있습니다.

먼저 현금서비스 유형이 441종으로 가장 많은 데 현금으로 바로 주는 보조금 서비스인데요 현금 혜택 중에서 감면받는 것 80가지가 되고 현금 혜택 중에서 보험으로 드리는 것도 14가지, 융자로 드리는 것 82가지가 있습니다. 장학금도 21가지나 있습니다.

그리고 현물 형태 즉 물건으로 드리는 것도 50가지가 있고요 이용권도 53가지, 서비스 중에서 돌봄 38가지, 의료 59가지, 일자리 72가지, 임대주택 17가지, 그 외에도 148가지의 서비스들이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유형의 중앙정부 서비스가 1075개나 있습니다.

그러니까 보조금 24 인터넷 홈페이지를 방문하셔서 내가 받을 수 있는 것 확인하시고 인터넷이 힘드신 분들은 직접 주민센터에 방문하셔서

내가 받을 수 있는 보조금, 서비스 프린트해주세요 라고 말씀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모든 서비스들이 9월 15일부터 공공데이터 포털에 공개되어 국민이나 기업들이 정부나 공공기관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이 곳에 올라와 있는 모든 데이터는 활용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공공데이터라는 것은 법에 따라서 생성되고 수집되는 전자적 형태의 정보인데요 여기에서 개방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공공데이터포털에 올리는 것입니다.

공공데이터 포털의 서비스는

1. 데이터 찾기 서비스-각종 카테고리 분야별로 내가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것이고

2. 데이터 요청 서비스-즉 찾아봤는데 그런 데이터가 없다, 그러면 그것을 요청하는 것이고 그러면 정부에서 개방 가능한 데이터는 개방하는 것입니다. 

3. 데이터 활용 서비스-각종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정부 24 - 보조금 24에서 확인 가능하시고요.

인터넷 어려우신 분들은 주민센터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공공데이터 포털은 이러한 모든 서비스들을 한눈에 비교하고 살펴볼 수 있어 편리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