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가 2G → 3G → 4G → 그다음 5G로 이렇게 막연히 속도가 빨라진다는 개념으로 알고 계실 듯합니다.
위키백과에 따르면 [통신분야에서 5G는 2019년부터 휴대전화 회사가 전 세계에 보급하기 시작한 광대역 이동통신망 5세대 기술표준으로 현재 대부분의 휴대폰과 접속할 수 있는 4G 네트워크의 후계자로, 5G 네트워크는 전 세계적으로 17억명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GSM 협회에 따르면, 2025년까지. 이전과 마찬가지로 5G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로 서비스 지역을 셀이라는 작은 지리적 영역으로 나눈다. 셀의 모든 5G 무선기기는 셀의 로컬 안테나를 통해 전파에 의해 인터넷과 전화망에 연결된다. 새로운 네트워크의 주요 장점은 더 큰 대역폭을 갖게 되어 더 높은 다운로드 속도를 제공하게 되며, 결국 초당 최대 10기가비트(Gbit/s)가 된다는 것이다. 기존 네트워크보다 5G가 빠를 뿐 아니라 5G는 더 다양한 기기를 연결할 수 있고, 사람이 붐비는 지역에 있더라도 서버가 더 통합돼 인터넷 서비스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대역폭 증가로 인해, 네트워크는 점점 더 케이블 인터넷과 같은 기존 ISP와 경쟁하면서 노트북과 데스크탑 컴퓨터의 일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사물인터넷(IoT)과 기계간 영역에서도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4세대(4G) 기능을 갖춘 휴대전화만으로는 5세대(5G) 무선기기가 필요한 새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다.]
5G(5generation) 통신의 공식 용어는 IMT-2020으로, 5G 기술은 아직 국제 표준 미정입니다. 5G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닙니다.
• 사람 이외에 주변의 물건, 자동차 등의 사물을 대상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을 말합니다.
• 기가급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사람과 사물을 포함한 모든 사용자에게 비용과 에너지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말합니다.
• 디바이스들이 5G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초고속, 대용량, 초연결, 초실시간의 서비스가 가능하여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가치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그럴듯한 기술외에 사실은 우려되는 부분이 많아서 여러 선진국에서는 상용화되지 못하도록 시민단체에서 저지하는 상황인데 왜 그럴까요?
5G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요 기술은
• 센티미터파(3GHz~30GHz), 밀리미터파(30 GHz~300 GHz)의 초고주파 광대역 폭을 활용한 초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 별도의 용량을 갖는 신호를 다수의 단말에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빔 스트림(stream)으로 분리하여 전송하는 대용량 다중 안테나 기술(Massive MIMO)
• Small Cell : 트래픽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영역 내에 다수의 소형 기지국을 설치하여 HetNet(heterogeneous network) 기반 네트워크 용량을 증대하는 기술
• 혁신적인 이동통신 신호 처리 기술 : 직교 주파수 다중화 방식과 전력 및 코드 다중화 방식을 추가하는 다양한 방식의 신규 이동통신 신호 처리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
• 5G 네트워크 운용 기술(5G operation & management) :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장비(기지국, RRU 등)의 운용에 필요한 주요 기능을 자동화하여 네트워크 스스로 최적의 초기 설정 및 운용, 자율적인 유지 ・ 보수 등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진 차세대 네트워크 운용 기술
초고주파가 사실은 군대 무기로 쓰인다는 사실, 단순히 휴대전화의 속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로는 한계가 많으며 오히려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아야겠습니다.
스펙트럼맵
전파정보 개방시스템(K-ICT 스펙트럼 Map)
www.spectrummap.kr
'Today > 덤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공휴일은 67일/대체공휴일/국경일 (0) | 2022.01.15 |
---|---|
2022년 설 명절 청탁금지법 바로알기 (0) | 2022.01.14 |
우회전 차량 일시 정지/7월부터/우회전횡단보도 (0) | 2022.01.12 |
설 연휴 승차권 100% 비대면 예매 시작/KTX/SRT/코레일/명절기차표 (0) | 2022.01.11 |
스텔스차량/범칙금/도로교통법/ (0) | 2022.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