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day/덤 +1

2023년도 수능시험 일정/모의고사/성적통지/원서접수

by ◎◉⌥⏏︎ 2022. 3. 26.
11월 17일에 실시되는 2023년도 수능!
 
◆ 2022학년도부터 변경된 체제를 동일하게 적용합니다.

- 국어/수학: 공통 과목 + 선택* 과목(택 1)
* 국어: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수학: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 제2외국어/한문: 절대평가*
* 한국사(2017학년도~), 영어(2018학년도~)는 이미 절대평가 실시 중
- 사회·과학탐구 17개 과목 중 최대 2개 과목 선택
- EBS 연계율 50% 수준 유지
- 영어 영역 모두 간접 연계 출제
 
◆ 출제 오류 방지를 위해 문항 출제 및 검토 절차를 개선합니다.

① 고난도 문항 검토 단계 신설
대상: 출제·검토위원이 정답률이 낮다고 판단한 문항
- 다양한 문항 풀이 방식에 따른 정답 이상 유무
- 제시문 및 제시 조건의 완결성 및 실제성 등 집중 검토
 
② 검토자문위원 확충 및 출제 기간 확대
- 전문성을 갖춘 검토자문위원의 확충
8명 > 12명
 
- 출제·검토의 내실화 제고를 위한 출제 기간 확대
36일 > 38일
 
◆ 수능 문항에 대한 이의심사제도도 개선됩니다.

① 이의심사위원 외부위원 확대
- 기존: 내부 4명 + 외부 5명 = 총 9명
- 변경: 내부 2명 + 외부 9명 = 총 11명
 
② 내실 있는 심사를 위한 심사 기간 확대
- 기존: 12일
- 변경: 13일
 
③ 이견/소수의견 재검증 절차 신설
이의심사실무위원회에서 이견/소수의견이 나오는 경우, 신설된 2차 이의심사실무위원회를 통해 재검증
 
◆ 2023학년도 수능시험은 11월 17일에 실시됩니다.

2023년도-수능일정
2023년도 수능일정(제공:교육부)

[시험일정]
- 6월 모의평가일: 6.9.(목)
- 수능 원서접수기간: 8.18.(목)~9.2.(금)
- 9월 모의평가일: 8.31.(수)
- 수능 시험일: 11.17.(목)
- 문제 및 정답 이의신청: 11.17.(목)~11.21.(월)
- 정답 확정: 11.29.(화)
- 성적 통지: 12.9.(금)
 

2023학년도 수능 시행 관련 주요 사항

 

1. 시험 영역은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사회・과학・직업),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구분되고, 모든 수험생은 한국사 영역에 반드시 응시하여야 하며, 나머지 영역은 자신의 선택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2. 국어, 수학 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에 따라 공통과목은 공통 응시하고, 영역별 선택과목 중 1개 과목을 선택합니다.

- (국어 영역 선택과목)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 (수학 영역 선택과목)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3. 영어 영역의 경우 총 45문항 중 듣기 평가는 17문항이며, 25분 이내 실시합니다.

4. EBS 수능교재 및 강의와 연계하여 출제하되,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개념과 원리 중심으로 연계 출제합니다.

5. 국어와 영어 영역은 출제 범위를 바탕으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하여 출제합니다.

6. 탐구 영역은 탐구(사회・과학・직업)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영역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나, 직업탐구 영역은 산업수요 맞춤형 및 특성화 고등학교 전문 교과Ⅱ 교육과정(2020년 3월 1일 이전 졸업자는 직업계열 전문 교과 교육과정)을 86 단위(2016년 3월 1일 이전 졸업자는 80 단위) 이상 이수해야 응시할 수 있습니다.

7. 사회·과학탐구 영역은 사회·과학탐구 17개 과목 중에서 최대 2개 과목 선택 가능합니다.

8. 직업탐구 영역은 6개 과목 중 최대 2개 과목 선택 가능하며, 2개 과목 선택 시에는 전문 공통과목인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응시해야 함.

- 2개 과목 응시할 경우 전문 공통과목(성공적인 직업생활)과 계열별 선택과목(5개)* 중 1개 과목을 선택하여 응시합니다.

* 농업 기초 기술, 공업 일반, 상업 경제, 수산․해운 산업 기초, 인간 발달

- 1개 과목 응시할 경우 계열별 선택과목(5개) 중 1개 과목을 선택하여 응시합니다.

9.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9개 과목 중 1개 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10. 문제지는 매 교시별・영역별로 표지를 제작하고, 1교시 국어 영역, 2교시 수학 영역 및 4교시 사회탐구 영역, 과학탐구 영역, 직업탐구 영역과 5교시 제2외국어/한문 영역 문제지는 영역별로 단일 합권(1권)으로 제작하여 제공합니다.

11. 시험실 당 수험생 수를 24명 이하로 운영하며, 응시원서에 부착하는 사진은 “원서접수 시작일로부터 최근 6개월 이내에 촬영된 천연색 상반신 정면 여권용 규격 사진(3.5㎝×4.5㎝)”으로 합니다.

12. 컴퓨터용 사인펜, 샤프, 수정테이프는 시험장에서 지급하며, 검은색 컴퓨터용 사인펜, 흑색 연필, 흰색 수정테이프, 지우개, 샤프심(흑색, 0.5mm), 마스크(감독관 사전확인)는 개인 휴대가 가능합니다.

13. 성적통지표에는 응시한 영역과 과목명이 표기되며, 영역/과목별로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표기되나, 영어 영역, 한국사 영역 및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경우 절대평가에 따른 등급만 표기됨. 또한 한국사 영역에 응시하지 않을 경우, 시험 전체가 무효 처리되며 성적 통지표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14. 문제 및 정답에 대한 공식적인 이의신청 제도를 운영하며, 구체적인 신청 기간 및 절차와 방법 등은 2022. 7. 4.(월) 시행세부계획 공고 시 발표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