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사용 카드 포인트 새로 포함… 금융소비자 정보 포털 등서 조회 가능합니다 >
예금, 보험금 등 고객이 찾아가지 않은 16조 원을 금융소비자에게 돌려주기 위해 전 금융권이 캠페인에 나섰습니다.
특히, 이번부터는 미사용 카드포인트를 신규로 포함해 더욱 다양한 금융자산 환급 효과가 기대됩니다.
금융위·금감원은 다음달 20일까지 9개 기관과 176개 금융회사가 공동으로 ‘숨은 금융자산 찾아주기’ 캠페인을 벌인다고 11일 밝혔습니다.
16조 원에 이르는 숨은 금융자산의 조회 방법 등을 E-메일, SMS 등을 통해 금융소비자별 개별 안내하고 금융회사 홈페이지, 블로그 등 활용 가능한 모든 채널 등을 통한 대국민 홍보도 병행하기로 했습니다.
금융위·금감원은 그동안 숨은 금융자산 조회시스템 운영 및 홍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지난 2015년 6월 이후 3조 7000억 원의 숨은 금융자산을 금융소비자에게 돌려줬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숨은 금융자산이 16조 원에 이르고, 최근 2년 동안 규모 또한 잇달아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 금융권 숨은 금융자산의 규모는 장기 미거래 금융자산 12조 원, 휴면 금융자산 1조 4000억 원, 미사용 카드 포인트 2조 5000억 원 등 16조 원이고 계좌 수는 약 2억 개로 추산됩니다.
이에 따라 금융위, 금감원, 금융결제원, 서민금융진흥원, 한국 예탁결제원, 금융협회(은행연합회 등 6개 금융협회)가 공동으로 주관하고 은행, 보험, 증권사, 저축은행 등 전 금융회사가 캠페인에 참여해 금융소비자의 숨은 금융자산을 안내할 계획입니다.
추진방안을 보면, 홍보포스터·온라인 등을 통해 대국민 홍보를 실시하고, 숨은 금융자산 보유 금융소비자에게도 조회 방법을 개별 안내합니다.
홍보 포스터·안내장(리플릿)을 제작·배포해 각 금융회사 영업점·창구에 게시하고 금융회사 영업점 내 모니터, 전광판, ATM 화면에 홍보물을 띄우는 등 접근성이 높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홍보를 실시합니다.
아울러 금융회사 홈페이지, 앱, SNS 등에 홍보물 및 조회시스템 링크를 팝업으로 게시하는 온라인 홍보도 진행합니다.
금감원 금융소비자포털(파인) 및 블로그를 통해 홍보하고 금융회사 및 금융협회·유관기관 홈페이지, 블로그, SNS 등에도 게시해 홍보 효과를 높입니다.
또 SMS·RCS·알림톡, 이메일, 앱 푸시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대고객 개별 안내를 실시합니다.
숨은 금융자산은 온라인을 통해 쉽게 조회·환급 신청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모바일을 통해 먼저 조회한 뒤 환급 신청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금감원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fine.fss.or.kr)에서는 전 금융권의 숨은 금융자산, 미사용 카드 포인트를 모두 조회할 수 있습니다.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
금융소비자가 금융거래과정에서 필요하거나 알아두면 유익한 금융정보를 망라하여 제공, 금융감독원 파인, 금감원 파인, 휴면계좌 통합조회, 금융상품 한눈에, 연금저축 통합공시, 보험다모아,
fine.fss.or.kr
또한 금융결제원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에서 은행, 저축은행, 증권사 등에 개설된 본인 명의 계좌를 일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소액 비활동성 계좌는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에서 즉시 본인 명의의 다른 계좌로 잔고이전 후 해지가 가능합니다.
아울러, 휴면예금·휴면보험금은 서민금융진흥원 및 은행연합회 등 금융협회 조회시스템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휴면성증권은 금융투자협회 휴면성 증권계좌 조회시스템, 실기주과실은 한국 예탁결제원 실기주 과실 조회서비스에서 각각 조회 가능합니다.
미사용 카드포인트는 여신금융협회 카드 포인트 통합조회서비스 및 금융결제원 계좌정보 통합관리 서비스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금융소비자는 잊고 있던 소중한 금융자산을 쉽게 조회 후 환급 받아 생활자금 등에 활용할 수 있고, 장기간 미사용 계좌를 방치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해 사회적 비용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문의 : 금융위원회 금융소비자정책과(02-2100-2637), 은행과(02-2100-2951),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보호총괄국(02-3145-5692)
'Today > (알면)공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소득가정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연령 만 9~24세로 확대 (0) | 2022.04.13 |
---|---|
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만 19~34세 누구나…이용료 본인부담금 10% (0) | 2022.04.13 |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시범사업이란? (0) | 2022.04.11 |
2022년도 국비유학(연수)생 및 기술기능인 국비장학금 선발 공고 (0) | 2022.04.08 |
국산목재로 어린이의 실내 환경을 건강하게 바꿔드려요!(7천만원) (0) | 2022.04.07 |
댓글